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금융공학 석사 과정 비교: 연세대 vs 고려대

by 금융직장인 2025. 4. 14.

국내 금융공학 석사 과정 비교

국내 금융공학 석사 과정 비교: 연세대 vs 고려대

금융공학 석사는 정량 분석과 IT기술이 결합된 금융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으로, 국내에서도 점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연세대학교고려대학교는 국내 대표 대학으로 금융공학 석사 과정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학교의 금융공학 커리큘럼, 진로 지원, 학습 환경 등을 비교해보겠습니다.

기본 개요 비교

항목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학과명 금융공학 협동과정 (연세대 일반대학원) 금융공학과 (고려대 일반대학원)
과정 유형 협동과정(수학, 통계, 경영학 연계) 융합대학원 독립 학과
학위명 공학석사 또는 이학석사 금융공학석사 (MFE)
정원 연 20명 내외 연 30명 내외

커리큘럼 구성 비교

연세대학교

  • 금융수학, 확률과정, 금융리스크관리 등 수학 중심 과목 강화
  • Python 기반의 금융 데이터 분석 수업 운영
  • 수학과, 통계학과, 경영대 소속 교수진이 공동 운영

고려대학교

  • 실무 밀착형 알고리즘 트레이딩, 머신러닝 중심 과목 확대
  • 데이터사이언스 기반 금융 모델링 집중 트랙 존재
  • 경제학부/경영학부 출신 학생과의 시너지

입학 요건 및 전공자 수용도

항목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서류 전형 학부 성적, 자기소개서, 연구계획서 중심 학부 성적, 전공 기초 이수 여부 강조
면접 기초수학, 전공 적성 면접 데이터분석 능력, 진로 목표 중심 평가
비전공자 지원 수학/통계 이수 과목 있다면 가능 프로그래밍 역량 중시

진로 및 산학 협력

  • 연세대 : 금융감독원, 삼성자산운용, 국민연금공단 등과의 산학 프로젝트 운영
  • 고려대 : 핀테크 기업, 증권사 리서치센터와의 공동 리서치 활발

어떤 학교가 더 나에게 맞을까?

  • 수학 기반의 금융 이론 중심 교육을 원한다면 → 연세대학교
  • 데이터 기반 실무 응용, 머신러닝 중심 교육을 원한다면 → 고려대학교
  • 공학적 접근을 선호하는 학생 → 연세대, 실전 중심 트레이딩 관심 → 고려대

결론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모두 국내 금융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교육기관이며, 학문적 깊이와 실무 적용 능력 모두를 갖춘 커리큘럼을 제공합니다. 본인의 학습 성향과 진로 목표에 따라 커리큘럼 구성과 강의 방식을 비교해보고, 자신에게 더 맞는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